2024년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4분기) 특별배당금이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4분기) 특별배당금이란?

by 세상요정 2024. 12. 5.
반응형

연말이 다가오면서 가지고 계시는 주식의 배당금 지급일 일정과 배당금액이 궁금하실 것입니다. 삼성전자가 10조의 자사주 매입을 한다고 발표한 뒤 요즘 삼성전자의 주가와 배당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오늘은 삼성전자의 배당금은 얼마인지 지급일은 언제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주식 배당금 

삼성전자는 1년에 4번 분기별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입니다. 

 

21년부터 23년까지 3년간 매 분기별 361원씩 동일하게 배당금을 지급해 왔습니다. 23년 기준으로 1년 총 배당금은 1,444원으로 주가를 7만원대로 환산하면 배당률은 2%대 입니다. 고배당은 아니지만 한국주식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탄탄한 회사인 삼성전자이면서 매번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해오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삼성전자의 배당금은 매력적입니다. 

 

 현재 5만원대의 삼성주식은 주가가 떨어져도 배당금은 같으니 이번 4분기에는 배당률이 올라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삼성전자 역대 배당금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023년 361원 361원 361원 361원
2022년 361원 361원 361원 361원
2021년 361원 361원 361원 361원
2020년 354원 354원 354원 354원 
(특별배당금 1,578원)
2019년 354원 354원 354원 354원

 

 

특별 배당금 

삼성전자는 2020년 4분기에 특별배당금 1,578원을 지급했습니다. 반도체 실적이 올라가는 시기에 주주 환원을 위해 특별배당을 실시한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이후에도 실적이 좋으면 특별배당금을 지급한다고 하였습니다.

 

 

24년 삼성전자 배당금 일정

  24년 1분기  24년 2분기  24년 3분기  24년 4분기 
배당기준일 3월 29일 6월 28일 9월 30일 12월 30일
마지막 매수일 3월 27일 6월 26일 9월 26일 12월 26일
배당금 지급일  5월 20일 8월 20일 11월 20일 25년 4월 21일 예상
배당금액 361원 361원 361원 361원
배당률 (%) 1.81% 1.78% 2.23% 2.66% 예상

 

 

 

24년 현대차(우) 배당금 지급일 (3분기,4분기)

배당금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친환경 차의 수출이 늘어나고 달러가 강세인 요즘 더욱 더 실적이 좋아지고 있는 현대차와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 3우B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obdamoney.tistory.com

 

삼성전자 (우) 

삼성전자 주식가격이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삼성전자 우와의 가격 간극이 줄어들었습니다. 우선주는 장단점이 있지만 현재처럼 가격차이가 낮게 나는 경우 매매를 고려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것 같습니다. 

 

역대 삼성전자 (우) 배당금 

년도 2021년 2022년  2023년
주당배당금 1445원 1445원 1445원
시가배당률  2.03% 2.86% 2.32%
배당성향  25% 17.92% 67.78%

 

삼성전자 우선주의 경우 주가 배당금은 삼성전자에 비해 1원 더 많이 측정되었습니다. 결국 삼성전자 보통주보다 낮은 주가이지만 배당금은 거의 같으니 시가 배당률은 올라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주의결권을 얻을 수는 없지만 배당금만 본다면 삼성전자 우선주를 고려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결정인것 같습니다. 

 

 

2023년 2024년 분기별 배당금

  2023년 3분기 2023년 4분기 2024년 1분기 2024년 2분기 2024년 3분기 2024년 4분기
주가배당금 361원 362원 361원 361원 361원 361원 예상
시가배당률% 0.66 0.58 0.53 0.57 0.71 0.8 예상
배당성향% 44.57 40.72 37.04 25.43 25.07  

 

 

 

2024년 4분기 삼성전자 (우)배당일정 

삼성전자 우선주의 배당금 일정은 삼성전자와 동일합니다. 

 

 

 

 

24년 포스코홀딩스 배당금 지급일 (+3분기,4분기)

포스코홀딩스는 대표적인 배당주이자 고배당주입니다. 현재 철강 업계의 불황과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주춤되는 상황에서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고점에서 내려오는 추세지만 (주) 포스코의

jobdamoney.tistory.com

 

보통주와 우선주 무엇을 매수해야 할까?

아마 처음으로 주식 투자를 고민하는 분들에게는 대한민국 대표 우량주인 삼성전자를 1순위로 고려하는 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구매하려고 보면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  두 종목이 보일 것입니다. 이 두종목 중 무엇을 매수할까 하시는 분은 우선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보통주

일반적으로 주식회사는 회사의 주식을 발행하고 그 자금을 통해 경영을 합니다. 회사가 발행한 주식에 투자한 사람을 주주라고 부릅니다. 회사에 투자를 하여 일정부분 기여했기에 주주는 회사가 경영을 하면서 주요 사항을 결정할 때 의견을 낼 수 있는 의결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의결권을 가지는 주식을 보통주라고 합니다. 


우선주 

반면에 우선주는 회사 경영을 위해 추가로 자금을 얻기위해 발행하는 주식입니다. 우선주는 보통주와 달리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가질 수 없습니다. 하지만 보통주보다 높은 배당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선주는 회사마다 발행하는 곳도 있으며 발행하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배당금을 주는 우선주로는 삼성전자(우)와 현대자동차(우)가 있습니다.  

우선주의 단점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금을 많이 받을 수 있지만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떨어집니다. 보통주에 비해 상장 주식 수가 적기도 합니다. 따라서 보통주보다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유통수가 작기 때문에 특정 세력이 조작하기도 쉽습니다. 따라서 우선주를 투자하고 싶으신분은 반드시 우선주의 유통수가 활발한 것으로 한정하여 투자를 하여야 합니다. 

 

 

삼성전자 주가 방향

외국인들의 삼성전자를 비롯한 한국주식 셀이 계속이어지고 있습니다. 작년 11월부터 상반기까지 약 31조를 매수했으며 그 중 절반인 14조를 무려 8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매도했습니다. 급격한 매도 덕분에 삼성전자 주가는 5만원대로 내려가 있는 상태입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업황에 따라 주가의 변동이 큰 대표적인 주식입니다. 24년에 들어 반도체 시장의 회복이 느려지면서 주가는 역대급으로 내려갔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경기 회복이 보이면서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전망이라고 전문가들은 이야기 합니다. 

 

외국인 보유율이 52%까지 내려간 것은 우려할만한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여전히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와 가전 분야의 실적또한 나쁘지 않습니다. 

 

반도체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경쟁사인 TSMC에게 밀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파운드리 사업이란 다른 회사 반도체를 대신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이 기술력또한 TSMC와 하이닉스가 앞서나가고 있으며 현재 삼성전자는 이를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10%의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이슈인 시장은  HBM시장입니다. HBM시장에서도 삼성전자가 먼저 개발했지만 하이닉스에 시장 선도권을 뺏겨 점유율이 뒤쳐지고 있습니다. 하이닉스의 주 고객사는 엔디비아입니다. 그러므로 삼성전자는 다음 반도체 시장인 HBM4를 노리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실적이 개선되며 삼성전자의 주가도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유는 전세계적으로 AI, 로봇, 전기차등의 주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이 되고 있으며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수요또한 개발에 맞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자사주매입

삼성전자는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것은 7년만에 이뤄진 것으로 7년전 자사주 매입때도 지금과 비슷한 주가였습니다. 또한 2015년에도 대규모 자사주 매입을 했는데 이때 주가가 2배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이 정도 규모의 돈을 다른 회사 인수나 기술 개발이 아닌 주가 방어를 위해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반응형